바이온사이트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1회 신약개발 AI플랫폼 기술 발표

| 0
[시사저널e=최다은 기자] 최근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신약개발 연구 효율을 높이는 기술이 주목받으면서 AI 신약개발 플랫폼 개발에 뛰어든 제약바이오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대형 제약사뿐만 아니라 중소 제약사들도 AI기술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이다. 

기허가 의약품의 새로운 적응증을 발견하는 AI 솔루션, 면역항암제, 항암 백신 개발 솔루션까지 AI 신약 개발 플랫폼도 다양해지는 추세다.

19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 주관하에 AI 플랫폼 설명회를 개최했다. 제약바이오기업과 AI스타트업의 공동연구를 활성화해 AI 신약개발을 가속화하자는 취지서다.

이날 ‘AI플랫폼 기술 발표’ 세션에서는 메디리타, 신테카바이오, 바이온사이트 세 기업이 각사의 약물개발 분야 플랫폼 기술에 대해 설명했다. 배영우 메디리타 대표, 양현진 신테카바이오 상무, 유호진 바이온사이트 최고기술책임자가 연사로 나섰다.

19일 유호진 바이온사이트 최고기술책임자가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AI신약개발지원센터 주최로 열린 '제1회 AI 신약개발 오픈 이노베이션 행사'에서 바이온사이트의 AI 신약개발 주요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유튜브 생중계 캡쳐


바이온사이트는 화학단백질체학 기술과 AI를 활용해 신약후보물질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자체 개발한 AI 플랫폼은 ‘글랜스(Glance)’, ‘재블린 (Javelin)’, ‘스켈레톤(Skeleton)’ 세 가지가 있다. 바이온사이트는 자가면역, 항암, 대사질환과 관련해 7종의 신약개발 파이프라인 운영하고 있다.

바이온사이트의 주요 기술은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통합하고 자체 네트워크 분석기술을 통해 질병-타겟-약물관계를 유추한다. 또 바이오 객체 간의 고유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단백질을 타겟하고 Pathway 분석, 후보물질 및 소재 발굴한다.

특히 스켈레톤의 주요 기술은 3차원 구조기반 딥러닝 모델들과 프레임워크 기술을 조합해 구현된 결합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유호진 바이온사이트 최고기술책임자는 “타겟 발굴부터 IND 확보까지 가능한 자체 신약개발 플랫폼으로 저비용 고효율 신약후보물질 발굴 중”이라며 “히트(hit) 물질 발굴까지 4개월 이내로 높은 성공률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2024년까지 2건의 IND 자료 확보를 목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93424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